계정 공유 시 5000원 더 내야한다? 넷플릭스 이용 확정, 추가 요금제 공지

해외에서만 진행되고 있었던 넷플릭스 계정 공유 추가요금
드디어 한국에서도 시행되기 시작되었다.
오는 2일, 넷플릭스 홈페이지에 계정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면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넷플릭스 계정의 이용 대상은 회원 본인과 함께 거주하는 사람, 즉 한 가구의 구성원"이라고 밝혔다.
같은 가구에 속하지 않은 이용자와 계정을 공유하려면 매달 5,000원씩 추가로 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별도 계정을 만들어 이용하여야 한다.
*
넷플릭스 계정은 한 가구 내에 함께 거주하는 사람들끼리 공유하는 것이 원칙
가구 구성원이 아니라면 계정을 생성하여 넷플릭스를 시청해야 하며,
또는 다른 국가에서 진행되는 것처럼 추가 회원 자리를 구매하여 등록하여야 한다.
이미 지난 2월부터 캐나다, 뉴질랜드, 스페인, 포르투갈을 시작으로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현재 약 100여 개국) 계정 공유 제한을 도입하여 새 계정 공유 정책이 적용되고 있다.
일본, 인도, 베트남 등 일부 국가에서는 추가 회원 기능을 아예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니 그나마 추가 회원 기능이 있는 한국이 선택의 폭이 넓은 편이라고 한다.
아직 국내에서 추가 회원을 몇 명까지 허용할지는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같은 정책을 먼저 도입한 해외 사례들을 보면 프리미엄은 최대 2개, 스탠다드는 1개의 추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넷플릭스 홈페이지에도 멤버십 기능에 그렇게 표기된 것으로 확인된다.
● 넷플릭스 요금제 종류

광고형 스탠다드 _ 5,500원
베이직 _ 9,500원
스탠다드 _ 13,500원
프리미엄 _ 17,000원
추가적으로 광고형 스탠다드와 베이직 요금제를 이용하는 회원은 추가 회원 등록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탠다드와 프리미엄 이용자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이며,
스탠다드는 추가회원 1명, 프리미엄은 추가회원 최대 2명 등록이 가능하다.
오는 2일부터 넷플릭스는 다른 구성원과 계정을 공유하는 회원들에게 순차적으로 이메일을 보내 새로운 계정 공유 정책을 안내하기로 하였다.
계정 공유 제한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고 밝혔으며, 회원들이 가입 때 동의한 개인정보 취급 방침에 따라 IP주소, 디바이스 ID, 계정 활동 등 정보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계정 주인과 같은 가우에 사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한다.
같은 가구에 살지 않은 외부 이용자나 디바이스가 넷플릭스에 접근할 경우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예정이다.

현재 넷플릭스 사용하고 있다면, 당신의 선택은?
프리미엄과 스탠다드, 그리고 광고형 스탠다드..
어떤 걸 선택하실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