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가 피해야 할 화장품 성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료를 찾으면서 느낀점이 "하나하나 신경쓰다보면 아무것도 안하는게 답이다" 였습니다
뭐든지 과하면 안 좋으니 과하게 사용만 하지말고 정말 위험한것들만 사용을 안하는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1. 벤조일퍼옥사이드 - 여드름 치료제 종류
임신 중, 호르몬 여성의 체형이 변하여 여드름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일반 의약품 여드름 제품에는 종종 과산화 벤조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태아 기형, 특히 임신 초반에 위험합니다.
2. 향료 - 향수류
다양한 유해 화학 물질로 구성된 향 화장품으로 대표적으로 향수가 있습니다.
파라벤, 벤젠유도체, 알데하이드 등 짧은 시간 사용하더라도 극소량의 향수라도
노출된 피부에 자극과 붉어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태아의 안전을 위해 임산부는 향수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3. 비스페놀A (BPA) - 광범위(캔음료, 캔참치등 내부 코팅제로도 쓰임)
BPA란 크림 형태로 제시되는 화장품의 베이스 역할을 하는 비정질 플라스틱 입니다.
BPA는 피부에만 사용해도 체내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BPA의 위험성은 내분비 장애, 위험 증가 유방암 그리고 전립선, 불임, 심장병, 당뇨병.
태아의 경우 BPA 성분에 노출되면 신체 발달 장애 및 행동 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4. 하이드로퀴논 - 미백, 기미, 검버섯등 화장품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변색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차단함으로써 작용합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하이드로퀴논은 태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포름알데히드 - 헤어스프레이, 매니큐어
화학 포름알데히드는 암 및 기타 신경계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포름알데히드는 일반적으로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매니큐어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임산부가 임신 중에 머리나 매니큐어를 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6. 파라벤 - 대체적으로 방부제역할
파라벤은 파운데이션부터 스타일링 젤에 이르기까지 화장품에 첨가되는 방부제입니다.
유방암 위험 뿐만 아니라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7. 프탈레이트 - 광범위(헤어스프레이, 매니큐어, 바디로션, 향수 등)
조산위험 증가 및 태아의 기형 유발, 남아의 경우 비뇨생식기발달에 부정적 영향이 있습니다.
8. 레티노이드 - 여드름, 주름, 세럼등
여드름 및 노화 방지 약물에서 발견됩니다.
레티노이드 사용과 선천적 기형 위험 증가 사이에는 입증된 연관성이 있습니다.
9. 경구용 살리실산
임산부의 경우 살리실산은 국소적으로 사용하면 해를 끼치지 않을 수 있지만 먹었을경우는 다릅니다.
임신 3기에 살리실산을 복용하면 태아의 두개내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10. 티오글리콜산 - 제모크림
티오글리콜산은 제모 크림에 사용되며 때때로 아세틸 메르캅탄,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르캅토아세트산 및 티오바닉산으로 표시됩니다. 이 화학물질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지만 이 성분은 화장품에 농도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태아 신체의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화장품 성분 중 하나입니다.
11.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아보벤존, 호모살레이트, 옥티살레이트, 옥토크릴렌, 오이벤존, 옥티녹세이트, 멘틸안트라닐레이트, 옥토크릴렌 등
.
12. 보툴리눔 톡신 - 주름개선
주름 주변의 근육을 마비시켜 피부를 젊어지게 하고 스트레칭하는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특히 처음 3개월 동안 발달 중인 태아에게 해롭습니다.
13.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은 거품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누와 샴푸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이 화학 물질의 농도는 화장품 기준에 따라 너무 자극적이며 신체에서 분해되지 않습니다.
장기간 노출되면 라우릴황산나트륨은 신경계와 간 및 신장 기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14. 디아졸리디닐우레아 - 광범위(방부제용)
디아졸리디닐 요소는 마스카라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태아에게 해로운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15. 스테아르산 - 광범위(비누,샴푸 등등)
스테아르산은 많은 식품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산이므로 모든 사람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상당히 일반적입니다.
미용 산업에서 스테아르산은 물과 기름을 혼합하고 먼지를 씻어내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임산부의 경우 스테아르산이 혈류와 태아로 들어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에서 수영 시 유의사항 (0) | 2023.11.17 |
---|---|
임산부가 피해야 할 음식 (1) | 2023.11.14 |
엔저에 따른 엔테크 급부상 (0) | 2023.11.10 |
일회용품 규제 완화 : 종이컵 & 플라스틱빨대 (0) | 2023.11.10 |
수영할때 주의사항 (0) | 2023.11.05 |
댓글